용어정리
sep : '구분자'로도 불린다.
본문정리
Unit 5.
/는 보통 몫을 구하는데 지정한 자료형으로 출력한다.(int면 정수, float면 실수) 하지만 파이썬에선 실수형으로 출력한다. 나머지를 버리기 위해선 //를 사용하면 된다. 다만 실수에 //를 적용하면 실수가 나오며 소수점 이하는 버린다. **는 거듭제곱을 위한 것이다.
값을 정수로 만들기 위해선 3가지 방법이 있다. int(숫자), int(계산식), int('문자열')이다.(실수도 마찬가지이다.)
객체의 자료형은 type(값)을 적용하면 된다. 몫과 나머지를 함께 구하기 위해선 divmod()를 이용하면 된다.
2진수는 0b, 8진수는 0o, 16진수는 0x를 붙인다. 복소수는 complex()이다.
Unit 6.
파이썬은 변수 여러개를 한번에 만들 수 있다.(x, y, z = 10, 20, 30) 변수 삭제는 del 변수명을 입력하면 된다. 빈 변수를 만들기 위해선 None을 할당하면 된다.
변수에 값을 입력하기 위해선 input()을 이용한다. 이때 input안에 '문자열' 을 넣어주면 해당 문자열이 먼저 출력된다. input()으로 입력된 값은 str로 출력된다.
2개 이상의 변수를 입력 받기 위해서는 .split('기준문자열')을 이용하면 된다.
위의 문단과 결합하면 x, y에 input.split로 입력받고 정수로 변환하기 위해 x, y를 int로 각각 변경해야했다. 이를 줄이기 위해 사용하는 함수가 map(자료형, input().split())이다.
Unit 7.
print(x,y)에서 ,를 사용하면 각 값이 공백으로 띄워져 출력된다.(print('1\n2\n3')을 사용하면 각 값에 줄 바꿈이 적용된다.)
print()안에 sep=','를 사용하면 ,으로 구분된다.(다른 문자열도 사용가능하다)(\n도 가능하다)
print()는 기본적으로 끝날 때 \n을 적용한다. 이 값을 바꾸기 위해선 end=''를 적용하면 된다.
본문제








'python > 자습' 카테고리의 다른 글
Unit 22 - 26(파이썬 코딩 도장) (0) | 2022.11.02 |
---|---|
Unit 16 - 21(파이썬 코딩 도장) (0) | 2022.10.30 |
Unit 13 - 15(파이썬 코딩 도장) (0) | 2022.10.29 |
Unit 8 - 12(파이썬 코딩 도장) (0) | 2022.10.29 |
Unit 1 - 4(파이썬 코딩 도장) (0) | 2022.10.29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