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자습
Unit 5 - 8 (C언어 코딩 도장)
지트리아
2022. 8. 30. 17:12
Unit 5. 변수 만들기
선언이라 표현하는 이유 :
무조건 위에서 아래로 해석되기 때문에 사용하는 부분보다 위에 있어야
변수에 값을 할당 :
변수에 값을 저장하는 과정
Unit 6. 디버거 사용하기
중단점 :
브레이크 포인터
Debug 중 x86 조건하에 사용 가능
중단점 삽입/삭제 : F9
디버깅 시작 : F5
디버깅 중지 : Shitf + F5
프로시저 단위 실행 : F10
한 단계씩 코드 실행 : F11
Unit 7. 정수 자료형 사용하기
char | 1byte, 8bit | |
unsigned char | 1byte, 8bit | 0~255 |
short | 2byte, 16bit | |
unsigned short | 2byte, 16bit | 0~65,535 |
int | 4byte, 32bit | |
unsigned int | 4byte, 32bit | 0~4,294,967,295 |
long | 4byte, 32bit | |
unsigned long | 4byte, 32bit | 0~4,294,967,295 |
long long | 8byte, 64bit | |
unsigned long long | 8byte, 64bit | 0~18,446,744,073,709,551,615 |
char, short, int | %d, %u |
long | %ld, %lu |
long long | %lld, %llu |
sizeof :
byte 단위로 자료형의 크기를 구함
sizeof(int), sizeof(num1)
Unit 8. 실수 자료형 사용하기
float | 4byte, 32bit |
long float | 8byte, 64bit |
long long float | 8byte, 64bit |
INF : 실수형에서 오버플로우 발생 시
0.0000000 : 실수형에서 언더플로우 발생 시
처음 float 헤더를 못보고 -3e40f를 적음 → float 헤더를 이용 안했기 때문에 오답
float 인식 후 0.000을 입력 → 결과가 0이 나옴
실수형에서 오버플로우여야 inf 이기 때문에 → -를 붙여서 FLT_MAX를 적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