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터넷 프로토콜(IP)(네트워크보안)(Wireshark로 배우는 컴퓨터 네트워크)
용어정리
최선의 노력 : IP패킷은 오류가 발생하거나, 분실되거나, 틀린 순서로 도착하거나, 지연될 수 있으며 네트워크 내에서 혼잡 문제를 일으킬 수 있다는 것을 의미
본문정리
개요
인터넷 프로토콜(IP) 은 네트워크층에서 TCP/IP 프로토콜이 사용하는 전송 메커니즘으로 신뢰성이 없고 비연결형 데이터그램 프로토콜로서 최선의 노력 전달 서비스를 제공 → 신뢰성이 중요하다면 IP는 TCP와 같은 신뢰성 있는 프로토콜과 함께 사용
IP는 데이터그램 방법을 사용하는 패킷 교환망을 위해 설계된 비연결형 프로토콜이다. 즉 데이터그램이 독립적으로 처리되고 목적지까지 서로 다른 경로를 통하여 전달될 수 있다. 순서가 바뀔 수도, 분실 및 훼손도 될 수 있는데 이를 해결하기 위해 상위 계층의 프로토콜에 의존한다.
데이터그램
데이터그램은 네트워크층의 패킷이라 한다.가변 패킷으로 헤더와 데이터 부분으로 구성된다. 헤더는 20바이트에서 60바이트이고, 라우팅과 전달에 필요한 정보를 포함하고 있다. TCP/IP에서는 보통 헤더를 4바이트 단위로 보여준다.
헤더 내의 필드는 버전(VER), 헤더 길이(HLEN), 서비스 유형(TOS), 전체 길이(Total Length), 식별자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버전 : 4bit이며 IP 프로토콜 버전을 나타낸다. 4이나 추후 6으로 대치될 것이다.
헤더 길이 : 4bit이며 헤더의 전체 길이를 4바이트로 나타낸다. 헤더는 20바이트에서 60바이트까지 이다.(즉 5~15)
서비스 유형 : 8bit는 원래 우선순위와 서비스 유형을 정의하였지만 현재는 처음 6bit의 경우 코드포인트 부필드이고 마지막 2비트는 사용하지 않는다. 오른쪽 세 비트가 0이면 우선순위와 같은 의미다.(과거의 의미와 같다는 의미이다.) 이와 반대로 모두 0이 아니면 인터넷 지정 기관에 의하여 부여된 우선순위에 따라 56(64~8)가지 서비스를 정의한다. 처음 범주(제일 오른쪽만 0)는 인터넷 당국에 의해 지정되며 24개의 서비스를 제공한다. 두 번째 범주(제일 오른쪽이 11)는 지역 당국에 의해 지정되며 16개 서비스를 제공한다. 세 번째 범주(제일 오른쪽이 01)는 임시로 실험 목적에 사용될 수 있으며 16개 서비스를 제공한다.
전체 길이 : 16bit이며 헤더와 데이터를 포함하는 IP데이터그램의 전체 길이를 바이트 단위로 나타낸다. 즉 데이터길이=전체길이-헤더길이 이다. 여기서 전체 길이가 16비트로 표현된다 했으므로 65,535(2^16 -1)바이트로 제한되며 이 중 20바이트에서 60바이트는 헤더이다. 65,535보다 크다면 데이터그램은 단편화되어야 한다.
IPv6 데이터그램 기본 헤더
IPv4에서 사용되는 주소가 다 소진되어 새로이 설계된 IPv6 패킷형식이 만들어졌다. 해당 패킷은 기본 헤더와 페이로드로 구성되어 있으며 페이로드는 선택적인 확장 헤더와 상위 계층에서 온 데이터로 구성되어 있다. 기본 헤더는 40바이트를 차지하며, 페이로드는 최대 65,535바이트까지 차지한다.
기본 헤더는 버전(version), 트래픽 클래스, 흐름 레이블, 페이로드 길이, 다음 헤더, 홉 제한, 발신지 주소, 목적지 주소로 구성되어 있다.
버전 : 4bit이며 해당 섹션에선 IPv6를 다루기 때문에 6이다.
트래픽 클래스 : 8 bit이며 서로 다른 전달 요구 사항을 갖는 페이로드를 구분하는데 쓰인다.
흐름 레이블 : 20 bit이며 특정 데이터 흐름을 특별하게 제어하기 위해 설계되었다.
페이로드 길이 : 16bit이며 기본 헤더를 제외한 IP 데이터그램의 전체 길이를 정의한다.
다음 헤더 : 8bit이며 데이터그램에서 기본 헤더의 다음해더를 정의한다. IP에 의해 이용되는 선택적인 확장 헤더 중 하나이거나 UDP와 같은 상위 계층 프로토콜을 위한 헤더이다. IPv4에서는 이 필드를 프로토콜이라 부른다.
흐름 레이블
최근 IP프로토콜을 연결형 프로토콜로 사용하는 경향이 있다. MPLS기술은 레이블 필드를 사용하여 MPLS 헤더 내에 IPv4패킷을 캡슐화할 수 있게 해준다. IPv6에서는 흐름 레이블이 IPv6 데이터그램 형식에 추가되어 IPv6를 연결형 프로토콜로 사용할 수 있게 해준다.
라우터는 흐름 레이블 테이블을 가진다. 패킷을 수신할 때 라우터는 패킷에서 정의된 흐름 레이블 값에 해당하는 항목을 찾기 위해 흐름 레이블을 참조한다. 여기서 언급된 서비스들과 함께 패킷을 제공하는데 이때 흐름 레이블 자체는 흐름 레이블 테이블의 항목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지 않는다. 다른 프로토콜 방식으로 제공 된다.
여기서 라우팅 테이블을 참고하고 라우팅 알고리즘을 통과하는 대신 흐름 레이블 테이블에서 다음 홉을 쉽게 찾을 수 있다. 더 복잡한 형태에서 흐름 레이블은 실시간 오디오와 비디오 전송을 제공할 수 있다. 실시간 데이터가 자원의 부족으로 인하여 지연되지 않도록 미리 자원을 예약할 수 있는데 이는 실시간 프로토콜과 자원 예약 프로토콜과 같은 프로토콜을 요구한다.
흐름 레이블의 효과적 사용을 위해 다음 3가지 법칙을 정의해야 한다.
1. 흐름 레이블은 발신지 호스트에 의해 패킷이 할당된다. 레이블은 1 ~ 2^24-1 사이의 임의의 수다. 발신지는 현재 흐름이 살아있는 동안에는 새로운 흐름을 위해서 흐름 레이블을 재사용해서는 안된다.
2. 호스트가 흐름 레이블을 제공하지 않으면 이 필드를 0으로 설정한다.
3. 동일 흐름에 속하는 모든 패킷은 동일 자원과 동일 목적지, 우선권, 옵션을 가져야 한다.
IPv4와 IPv6 헤더 비교
1. IPv6에서 헤더의 길이는 고정되어 있어 헤더 길이 필드가 없다.
2. IPv6에서 서비스 유형 필드는 없다. 트래픽 클래스와 흐름 레이블 플드는 서비스 유형 필드의 기능을 대신한다.
3. 총 길이 필드는 IPv6에는 없고, 페이로드 길이 필드로 대치된다.
4. 식별, 플레그 및 옵션 필드는 IPv6 기본 헤더에는 없다. 이 필드는 단편화 확장 헤더에 포함된다.
5. TTL 필드는 IPv6에서 홉 제한으로 불린다.
6. 프로토콜 필드는 다음 헤더 필드로 대치 된다.
7. 헤더 검사합은 상위 계층 프로토콜에 의해 제공된다. 따라서 네트워크 계층에서는 필요 없다.
8. IPv4에서 옵션 필드는 IPv6에서는 확장 헤더로 구현된다.
단편화
수신한 프레임 형식과 크기는 방금 지나온 네트워크에서 사용하는 프로토콜에 의존한다.
최대 전달 단위(MTU)
최대 전달 단위(MTU)는 프레임의 형식에 정의된 필드 중 하나는 데이터 필드의 최대 크기이다. 즉 데이터그램이 프레임 속에 캡슐화 될 때 데이터의 크기는 이 크기보다 작아야 한다. MTU값은 물리 네트워크 프로토콜마다 다르다. 다만 최대 길이를 65,535 바이트로 결정하였다.(물리 네트워크와 독립적으로 만들기 위해) 여기서 MTU가 작은 다른 네트워크에서는 데이터 그램을 나눠 보내야한다. 이것을 단편화라 한다.
IP와 데이터링크층에서 수용하기 편하도록 발신자 전송층이 데이터를 적절한 크기의 세그먼트로 나눈다. 단편화된 각 단편은 자신의 헤더를 갖는데 대부분의 필드는 본래의 값과 같으나 일부는 변경된다. 또한 단편화된 데이터그램은 서로 다른 경로를 통해 전달 될 수 있다. 재조립은 최종 목적지에서 행해져야 한다.
데이터그램을 단편화하는 호스트나 라우터는 플래그, 단편화 옵셋, 전체 길이를 변경해야 하며 검사합 값은 단편화와 관계없이 다시 계산되어야 한다.
단편화와 관련된 필드
식별자, 플래그, 단편화 옵셋이 관련되어 있다.
식별자 : 16bit이며 발신지 호스트가 보낸 데이터그램을 유일하게 식별한다. 식별지와 발신지 IP주소의 조합은 데이터그램이 발신지 호스트를 떠날 때 유일하게 정의되어야 한다. 유일성을 보장하기 위해 IP프로토콜은 카운터를 사용하여 데이터그램에 레이블을 붙인다. 이 카운터는 양의 정수 값으로 초기화되어있으며 IP프로토콜이 데이터그램을 보낼 때 마다 현재값을 식별자 필드에 복사하고 카운터 값을 1씩 증가시킨다. 데이터그램이 단편화될 때 식별자 필드의 값은 모든 단편에 복사된다. 즉 모든 단편은 같은 식별자 값을 가지며, 이 값은 원 데이터그램의 값과 같다.
플래그 : 3bit이고 처음 bit는 사용되지 않는다. 두 번재 bit는 "do not fragment bit"이다. 값이 1이면 데이터그램을 단편화하면 안된다. 해야하는데 이 bit가 설정되어 있으면 해당 데이터그램을 폐기하고 ICMP 오류 메시지를 발신지 호스트에 보낸다. 값이 0이면 단편화 할 수 있다. 세 번째 bit는 "more frament bit"이다. 값이 1이면 마지막 단편이 아니라는 것이고 0이면 마지막이거나 유일한 단편이다.
단편화 옵셋 : 13bit이고 전체 데이터그램 내에서 단편의 상대적 위치를 나타낸다. 이 필드는 원 데이터그램 내에서 데이터의 옵셋을 8바이트 단위로 나타낸 것이다. 13bit이기 때문에 8191보다 큰 값을 표현할 수 없고 각 단편의 첫 번째 바이트의 번호는 8로 나뉘어지는 숫자여야 한다. 만약 단편화 된게 또 단편화된다면 해당 옵셋의 값은 그래도 유지된다.
옵션
IP 데이터그램의 헤더는 고정 부분과 가변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다. 고정 부분은 20바이트이고 가변 부분은 옵션으로 구성되며 최대 40바이트이다. 옵션은 네트워크를 시험하거나 디버그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옵션은 필수적인 부분이 아니지만, 옵션 처리 기능은 IP 소프트웨어의 필수 부분이다.
형식
옵션 형식은 유형 필드(type), 길이 필드, 가변 길이의 값 필드로 구성된다.(TLV으로 불림)
유형 : 8bit로 구성되며 복사·클래스·번호로 구성된다. 복사는 1 bit이며 단편화에 옵션을 포함시킬 것인지를 제어한다. 0이면 옵션은 첫 번째 단편에만 복사되며, 1이면 옵션이 모든 단편에 복사되어야 한다. 클래스는 2bit이며 옵션의 일반적인 목적을 정의한다. 00이면 옵션이 데이터그램의 제어에 사용된다는 것을 의미하며 10인 경우에는 옵션이 디버그나 관리 목적이라는 것을 의미한다. 01, 11은 아직 정의되지 않았다. 번호는 5bit로 구성되며 옵션의 유형을 정의한다. 32개 중 6가지 유형만 정의되어 있다.
길이 : 유형 필드와 길이 필드를 포함한 옵션의 전체 길이를 정의한다. 모든 옵션 유형에 해당 필드가 있는 것은 아니다.
값 : 특정 옵션이 필요로 하는 데이터를 포함하고 있다. 모든 옵션 유형에 해당 필드가 있는 것은 아니다.
옵션 유형
위에 6가지 유형이 정의 되어있다 했는데, 이 중 둘은 1바이트 옵션이고 길이나 데이터 필드를 필요로 하지않으며 나머지는 필요로 한다.
무연산 옵션 : 한 바이트 옵션으로 옵션들 사이의 여백을 채워준다.
옵션 종료 옵션 : 한 바이트이고 옵션의 필드 끝의 패딩 목적으로 사용된다. 그러나 마지막 옵션으로만 사용될 수 있다. 즉 옵션 필드의 경계를 맞추기 위해 한 바이트 이상이 필요하다면 무연산 옵션이 사용된 후 마지막에 옵션 종료 옵션이 사용되어야 한다.
경로 기록 옵션 : 데이터그램을 처리한 인터넷 라우터들을 기록하기 위해서 사용된다. 최대 9개의 IP 주소까지 기록할 수 있다. 발신지는 방문되는 라우터에 의해 채워질 수 있는 공간을 미리 준비한다. 포인터 필드는 첫 번째 빈 엔트리의 바이트 번호를 포함하는 옵셋 정수 필드이다.
처음에 포인터 필드 값은 4를 가지며, 첫 번째 빈 필드를 가르킨다.(발신지를 떠날 때 IP주소를 위한 모든 필드가 비어있기 때문) 데이터그램이 전달되는 동안 데이터그램을 처리하는 라우터는 포인터 필드이 값과 길이 필드를 비교한다. 포인터 값이 길이 길이 값보다 크지 않다면 라우터는 자신의 IP주소를 다음 빈 필드에 넣는다. 라우터는 한 개 이상의 IP주소를 가지고 있으므로 데이터그램이 출력 인터페이스의 IP 주소를 기록한다. 그리고 라우터는 포인터 값을 4만큼 증가시킨다.
엄격한 발신지 경로 옵션 : 데이터그램이 인터넷에서 거쳐야 할 경로를 미리 지정하기 위해 사용된다. 발신지는 최소지연을 갖거나 최대 처리율을 제공하는 것과 같이 특별한 유형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경로를 선택 할 수 있으며 안전하거나 신뢰성 있는 경로를 선택할 수 있다. 만약 데이터그램이 리스트에 없는 라우터를 방문하거나 리스트에 있는 모든 라우터를 방문하지 않았다면 폐기되고 오류 메시지가 발송된다. 모든 IP 주소가 송신자에 의해 미리 지정되어 있다는 것을 제외하곤 경록 기록 옵션과 유사하다. 데이터그램이 이동할 때 데이터그램을 처리하는 라우터는 포인터의 값과 길이 값을 비교한다. (포인터가 길이보다 크다면 더 이상 이동 불가)
느슨한 발신지 경로 옵션 : 엄격한 발신지 경로와 비슷하나 리스트에 없는 라우터도 방문 가능하다.
타임스탬프 : 라우터가 테이터그램을 처리하는 시간을 기록하기 위해 사용된다. 시간은 세계 표준시 자정으로부터 밀리초 단위로 표시되며, 사용자나 관리자가 인터넷상의 라우터들이 어떻게 동작하는지 추적하는 데 도움이 된다. 오버플로우 필드는 필드가 더 이상 없기 때문에 타임스탬프를 기록하지 못한 라우터수를 기록한다. 플래그 필드는 방문된 라우터의 동작을 지정한다. 플래그 필드가 0이면 각 라우터는 주어진 필드에 타임스탬프만 추가한다. 1이면 라우터는 출력 인터페이스 IP주소와 타임스탬프를 기록한다. 3이면 라우터는 주어진 IP 주소와 입력 인터페이스 IP 주소를 비교한다. 만약 같으면 IP 주소에 출력 인터페이스 IP 주소를 덮어쓰고 타임스탬프를 추가한다.
검사합
대부분의 TCP/IP 프로토콜에 의해 사용되는 오류검출방법이다. 검사합은 송신자에 의해 계산되고 패킷과 함께 전송되며 수신자는 검사합을 포함하고 있는 전체 패킷에 대해 같은 계산을 반복한다.
송신자의 검사합 계산
패킷은 n비트 단위로 나뉘어지며 보통 16이다. 이 조각들은 1의 보수 연산을 사용하여 전부 더해져서 n비트의 결과를 생성한다. 이 결과값의 0을 1로, 1을 0으로 바꾸는 방법을 사용하여 이 결과에 대한 보수를 구하게 되는데 이 보수가 검사합이 된다.
패킷을 크기가 n비트인 k개의 조각으로 나눈다.
모든 조각을 1의 보수 연산을 사용하여 합한다.
합에 대한 1의 보수가 검사합이다.
수신자의 검사합 계산
수신자는 수신된 패킷을 k개의 n비트 단위로 나눈 후 이들을 전부 합한다. 그 후 1의 보수를 구한다. 결과가 0이면 패킷을 받아들이고 그렇지 않으면 거부한다.
데이터 전달과 처리 과정에서 오류가 없다면 수신자가 모든 단위를 더하고 1의 보수를 구한 결과가 0이 되어야 한다.
IP 패킷의 검사합
검사합 필드를 0으로 만든 후 모든 헤더를 16bit 단위로 나누고 이들의 합을 구한다.이 결과에 대한 보수를 구하여 검사합 필드에 삽입한다. IP 패킷 내의 검사합은 헤더만 포함하지 데이터는 포함하지 않는다. 그 이유는 먼저 IP 데이터그램 내의 데이터를 캡슐화하는 모든 상위 계층 프로토콜은 전체 패킷을 포함하는 검사합을 가지고 있다. 또한 IP 패킷의 헤더는 라우터를 방문할때마다 변경될 수 있지만, 데이터는 그렇지 않다.
IP 패키지
8개의 구성 요소가 있다. 헤더 추가 모듈, 처리 모듈, 포워딩 모듈, 단편화 모듈, 재조립 모듈, 라우팅 테이블, MTU 테이블, 재조립 테이블이다.
헤더 추가 모듈
상위 계층 프로토콜로부터 데이터와 목적지 IP주소를 받은 뒤 IP헤더를 더함으로써 데이터를 IP 데이터그램 내에 캡슐화한다.
처리 모듈
먼저 패킷이 최종 목적지에 도착하였는지 검사하며, 이럴 때 패킷은 재조립 모듈로 보내진다. 만약 노드가 라우터라면 수명 필드의 값을 1 감소시킨다. 0보다 크다면 처리 모듈은 데이터그램을 라우팅 모듈에 보낸다.
큐
입력 큐는 데이터 링크층이나 상위 계층 프로토콜로부터 온 데이터그램을 저장하고, 출력 큐는 데이터 링크층이나 상위 계층 프로토콜로 가는 데이터그램을 저장한다. 처리 모듈은 입력 큐로부터 데이터그램을 가져오며 단편화 모듈과 재조립 모듈은 출력 큐에 데이터 그램을 넣는다.
라우팅 테이블
패킷의 다음 홉 주소를 결정하기 위하여 포워딩 모듈에 의해 사용된다.
포워딩 모듈
처리 모듈로부터 IP 패킷을 받는다. 만약 패킷이 전달되어야 하면 패킷은 이 모듈로 보내진다. 이 모듈은 보내져야할 노드의 주소와 패킷이 보내져야 하는 인터페이스의 번호를 찾는다. 그리고 이 정보와 함께 패킷을 단편화 모듈에 보낸다.
MTU 테이블
단편화 모듈이 특정 인터페이스의 MTU를 찾기 위해 사용된다. 이 테이블은 인터페이스와 MTU 열만을 가진다.
단편화 모듈
포워딩 모듈로부터 IP 데이터그램을 받는다. 포워딩 모듈은 IP 데이터그램, 다음 노드의 IP 주소와 데이터그램이 출력되어야 하는 인터페이스 번호를 보낸다.
단편화 모듈은 MTU 테이블을 참조하여 해당하는 인터페이스 번호의 MTU를 찾는다.
재조립 테이블
재조립 모듈에 의하여 사용된다. 다섯 개의 필드를 가지는데 상태·발신지 IP 주소·데이터그램 ID·타임아웃·단편 필드이다. 상태는 FREE이거나 IN-USE일 수 있고, IP 주소는 발신지 IP 주소를 정의한다. 데이터그램 ID는 데이터 그램과 이 데이터그램에속하는 단편들을 유일하게 정의하는 번호이다. 타임아웃은 미리 결정된 시간으로 모든 단편이 이 시간 내에는 도착하여야 한다. 마지막으로 단편 필드는 단편들의 연결 리스트에 대한 포인터이다.
재조립 모듈
처리 모듈로부터 최종 목적지에 도착한 데이터그램 단편을 받는다. 단편화되지 않은 데이터그램도 하나의 단편만을 가진 데이터그램의 단편으로 취급한다. 앞서 말했듯 순서가 바뀔수 있기 때문에 재조립 테이블의 연결 리스트를 사용한다. 단편이속한데이터그램을찾고 같은 데이터그램에 속한 단편의 순서를 맞추고 모든 단편이 도착한 후 한 데이터그램에 속한 모든 단편을 재조립하는 것이다. 타임아웃이 만료되었다면 모든 단편을 폐기한다.
본문제
Q1. ---프로토콜은 TCP/IP 프로토콜 모음에 의해 전달 메커니즘으로 사용된다.
IP
Q2. IP는 ---데이터그램 프로토콜이다.
신뢰성이 없고 비연결형
Q3. ---라는 용어는 IP가 오류 점검과 추적을 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IP는 하부 계층이 신뢰성이 없다는 가정을 하므로 목적지까지 패킷을 전달하기 위하여 최선을 다하지만, 반드시 전달된다는 보장을 하지는 않는다.
최서의 노력 전달
Q4. 10진수 10인 HLEN의 값은 다음 중 무엇을 의미하는가?
헤더에 40바이트가 있다.
Q5. 단편화 옵셋이 100이라는 것은 무엇을 의미하는가?
데이터그램의 첫 번째 바이트는 800번째 바이트이다.
Q6. IP 헤더 크기는?
20에서 60바이트
Q7. IP 계층의 패킷은 ---라 불린다.
데이터그램
Q8. 데이터그램이 프레임에 캡슐화될 때 데이터그램의 전체 길이는 ---보다 짧아야 한다.
MTU
Q9. 다음 중 어느 옵션이 데이터그램이 정확히 네 개의 라우터를 방문하도록 지정하기 위해 사용되는가?
염격한 발신지 경로
Q10. 타임스탬프 옵션에서 ---의 플래그 값은 방문된 라우터가 제공된 필드 내에 타임스탬프 값만을 기록하도록 한다.
0
Q11. 과거에 서비스 유형(TOS) 필드라 불렸던 IP 헤더 필드는 현재 --- 필드라 불린다.
차별화 서비스
Q12. --- 모듈은 메시지 단편들을 모아서 순서대로 정리한다.
재조립
Q13. 다음 중 어느 모듈이 TTL 값이 0이 된 데이터그램을 폐기하는가?
처리
Q14. 다음 중 어느 모듈의 출력이 상위 계층 프로토콜로 가는 IP 패킷인가?
재조립
Q15. 다음 중 어느 모듈이 전달하기 위한 패킷의 크기를 결정하기 위해 MTU 테이블을 참조하는가?
단편화
Q16. 옵션 내의 어느 부필드 값이 단편 내에 옵션이 복사될 것인지를 제어하는가?
복사
Q17. IPv6 주소는 길이가 ---비트이다.
128
Q18. IPv6에서 옵션은 --- 데이터와 ---데이터 사이에 존재한다.
기본 헤더, 상위 계층
Q19. 가독성을 높이기 위해 IPv6는 --- 표기를 사용한다.
콜론 16진수
Q20. 콜론 16진 표기에서 128bit 주소는 --- 개의 섹션으로 나누어지고, 각 섹션은 길이가 ---인 16진 자릿수를 가진다.
8 : 4
Q21. IPv6 주소는 --- 개의 콜론까지 표시할 수 있다.
8
Q22. IPv6 주소는 최대 ---개의 16진 자릿수를 가질 수 있다.
32
Q23. IPv6에서 ---주소는 단일 컴퓨터의 주소를 가르킨다.
유니캐스트
Q24. --- 주소는 컴퓨터 그룹을 가르킨다.
멀티캐스트
Q25. 기본 헤더의 --- 필드는 데이터 그램의 수명을 제한한다.
홉 제한
Q26. 기본 헤더에서 ---필드와 송신자 IP 주소는 데이터의 특정 흐름 위한 경로 식별자를 가리키기 위해 사용된다.
흐름 레이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