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보안 기술개발 교육 - 악성코드반(kisia)
결과
1차 서류면접 합격 후 2차 대면 면접 합격 후 본 교육과정 수료
처음 목표
수료
배운 것, 성공, 실패 요인 분석
애초에 경쟁률이 빡세지 않아(거의 1.1:1)이라 붙은 것 같다.
선발되기 위해선 먼저 서류를 통과한 후 (5:5) 대면 면접을 보는 것이었다.
서류를 적을 땐 능력적으로 적을 내용이 아예 없었다. 인공지능과 보안 관련 지식도 없다고 기입했다.
때문에 지원 동기, 이 교육이 나에게 왜 필요한지를 많이 어필하려 하였다.
대면 면접에서 나에게 했던 질문은 AI 관련하여 어떤 프로그램을 만들 수 있는가? 였다.
답으로는 최근 유튜브에서 본 영상을 인용하였다. 대리기사가 음주한 사람에게 폭행당하는 일이 있는데 이때 바디캠을 이용하여 대리기사가 폭행당했다 인식하면 자동으로 경찰에 신고해주는 프로그램을 만드는 것을 제시했다.
교육을 진행하면서 거의 20% 정도만 습득한 것 같다. 여기서 배울 수 있던 건 skill적인 부분, 즉 악성코드 분석, AI 이용에 있어 어느 사이트와 프로그램을 이용할 수 있는가 그리고 리눅스는 어떻게 생겼는가, 다른 이들은 배운 걸 어떻게 정리하는가 였다.
여기서 80%를 놓친 이유는 다음과 같다.
1. 관련 지식이 전무했다는 점
2. 배울 당시 너무 모르니 중간중간 의기소침해져 안 배우려했다는 점
3. 강사가 시간이 없으니 뒤쳐지는 사람은 두고 진행했다는 점
4. 나에게 필요하지 않다고 생각되는 내용이 나왔다는 점
5. 복습을 하지 않았다(물론 변명을 하자면 다음날 배우는 내용이 거의 관계가 없었다, 강사가 중반부까지 3일? 마다 바꼈기 때문이다.)
6. 몇몇 프로그램을 이용할 때 안될것이다·수업을 놓칠것이다 생각하고 접근했다는 점(VM, 리눅스나 몇몇 프로그램은 아예 안써봤기에 초반 교육을 못 쫓아갔다. 그렇다 보니 놓치기 일쑤였다.)
20%를 챙긴 이유는 다음과 같다.
1. 주변 사람들이 굉장히 나를 도와주었다는 점
2. 1로 인해 미안함을 너무 느껴 발버둥이라도 쳐야했다는 점
3. 수료라도 하지 않으면 여름 방학 자체를 버릴 것 같다 생각했던 점(물론 참가만 해도 수료를 주는 것이었다)
4. 나에게 필요한 내용이 후반부에 많이 나왔다는 점
5. 3과 4로 인해 출석을 어떻게든 하려 했다는 점(출석을 하루라도 빼먹으면 아예 내용을 못 쫓아갔다)
6. 꼴찌는 하기 싫었다는 점
개선해야 할 점
1. 관련 지식을 쌓아야 한다. 지식이 없으니 자신감도 없었고 그렇기에 비관적으로 일부 수업에 임했다.
2. 컴퓨터를 배운 지 4개월 된 시점, 관련 교육은 아예 배우지 않았던 점에서 몰랐던 것이 당연한 건데 의기소침한 마음 따윈 배우는 기간 동안 버려야 했다.
3. 복습이라도 했어야 했다. 책에 있는 내용이라도 익혔으면 좋았을 것이다.
4. 배운 내용을 바로바로 적어 놨어야 했다.(티스토리든, 따로 노트를 만들든)